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예배와 설교와의 관계

문영은 2013. 11. 11. 17:09

예배와 설교와의 관계 
 

 

 

 

1. 설교자는 예배중심- 예배의 내적인 면은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가능하지만 외적인 역사는 설교의 사역을 감당하는 목사가 예배의 중심에 서서 인도하는 것으로 예배의 중심인 설교자는 설교를 통하여 생명을 줄뿐아니라 모든 삶에서 말씀의 가르침을 좆는 예수님의 제자가 되어야 한다.

2. 설교는 예배의 생명

사도행전은 복음을 통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전파하는 사도들의 행적을 증겋사는 말씀인 동시에 목회자들로 하여금 예배의 생명이 설교에 있음을 가르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3. 예배에서 설교의 효과

1) 교회를 존재케한다.

2)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다

3) 예배행위의 주제를 제공한다

4) 예배의식에 본질적인 내용을 준다

5) 예배에 생명력을 증거하는 훌륭한 기회이다

6) 예배행위에 있어서 결정체가 된다

7) 예배에서 은혜받는 수단으로 제공된다

 

주일 낮예배,밤예배,수요예배의 성경적 근거

 

1. 주일낮예배

성경에서 주일 낮예배의 순서를 일괄적으로 보여주는 곳은 없지만 성경의 여러곳에 나타난 초대교회의 예배를 볼때 낮예배의 요소를 제공하고 있다.

즉 성경낭독, 설교, 권면이 담긴 사도들의 가르침과 기도와 떡을 나누는 예식, 시편등을 노래하며 찬송드리는 것, 신앙고백, 헌금, 축도등이 포함된다.

2. 주일찬양예배

초대교회의 주일예배는 하루종일 거룩하게 교회에서 모여서 지켰음을 알수 있다. 이러한 초대교회의 예배풍토는 오늘날의 저녁예배, 주일찬양예배의 형태로 이어져 오고 있다.

오늘날 찬양예배나 예배의 성격과 같은 예배가 초대교회에서 드려졌음을 비데니아의 총독 소푸리니우스가 도라이누스 황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증거되고 있다.

3. 수요예배

성경은 수요예배에 대하여 가르치지 않고 있지만 각 교회의 실정에 맞추어 행하는 예배의 수단과 방법으로서 성경의 간접적 지원을 받는 예배이다.

수요예배의 출발은 사도시대의 예루살렘 교회처럼 날마다 모이지는 못하더라도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않기 위하여 한 주의 중간인 삼일에 모여서 예배드리므로 유래되고 있다

4. 금요예배

성경은 예수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운명하실 때에 찢어진 성소의 휘장에 대하여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성막에서 휘장은 성소와 지성소를 구분하는 것으로서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거룩하지 못한 인간의 관계를 상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님이 갈보리 언덕위의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날은 금요일로서 주님의 우리의 죄를 담당하시고 죽으신 이날을 기념하여 금요일 저녁에 기도회 성격의 모임을 갖는 것은 한국교회만이 지니고 있는 특별한 예배이다.

 

 성찬의 의미과 세례의 의미

1. 세례의 의미

세례란

1) 교회와 세상과의 구별을 의미한다

2) 그리스도에게 가는 여정의 끝이다

3) 그리스도안에서의 생활의 시작이다

예수가 받으신 세례는 그가 메시야임을 공적으로 선포하는 의미를 갖는다

1) 하나님 나라의  표지

2) 죄의 용서

3)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의 참여

4) 그리스도의 몸에의 합동

5) 성령을 받는 사건

2. 성만찬의 의미

성만찬은 초대교회의 교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예수께서 제자들과 마지막 만찬에 떡과 잔의 먹고 마심은 영적인 그리스도의 현존의 실재의 상황적인 재임재인 것이었다. 바로 이것을 성만찬을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은 믿는 것이며 고백하는 것이다.성만찬은 초대교회로부터 예배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눈으로 보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경험하게 예전이다.

1) 성부께 대한 감사로서의 성만찬

2) 그리스도에 대한 기념으로서의 성만찬

3) 성령 임재로서의 성만찬

4) 성도의 교재로서의 성만찬

5) 하나님 나라의 식사로서의 성만찬


 예배와 회중찬송

1. 정의

찬송은 그리스도인이 신앙의 기초위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려는 목적으로 예배에서나 일상생활에서 부르는 노래를 의미한다. 찬송은 예배의 일부분이면서 그자체가 예배이고 감사의 행위이면서 곡조를 가진 기도이다.

2. 특징

회중찬송은 직접, 간접적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데 기여하며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게 되는것으로의 특징과 예배자의 예배자세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특징으로 긍정적인 특징이 있다.

3. 조건

1) 하나님께 영광이 되어야 한다.

2) 노래하는 이들의 신앙과 인격의 성장에도 기여해야 하기 때문에 가사의 구성과 음악적 표현속에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올바른 신앙을 고백하는 내용이 들어 있어야 한다.

3) 찬송가가 갖추어야할 일반적인 요구조건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4. 원리

찬송가는 대개 분명한 주제를 가지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예배의 특징에 맞는 것들을 선별하여 사용하면 예배자들에게 은혜가 되고 예배의 목적을 성취하는데 보다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예배찬송가를 선택하는데 고려사항

1) 예배에 적합한 찬송가를 선택한다

2) 담임 교역자는 찬송가 선택에 무관심해서는 안된다.

3) 모든 찬송가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선택되어야 한다.

4) 회중이 예배의 경험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5) 객관적인 찬송가와 주관적인 찬송가 사이에 균형을 유지한다.

자료출처/http://cafe.daum.net/cgsbong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